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시편: 압살롬의 반역에 대한 설명

by 대왕잉어르 2025. 5. 31.

압살롬의 반역은 다윗 왕의 아들 압살롬이 아버지에 대항해 왕권을 빼앗으려 했던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반역 사건 중 하나입니다. 이 사건은 사무엘하 13장부터 19장까지에 걸쳐 기록되어 있으며, 인간의 죄, 복수, 정치적 음모, 그리고 하나님의 주권이 얽혀 있는 매우 드라마틱한 이야기입니다.

🧑‍🤝‍🧑 주요 인물
인물 설명

압살롬: 다윗의 아들. 외모가 출중하고 인기 많았지만, 복수심과 야망이 컸음
다윗: 이스라엘의 왕. 압살롬의 반역으로 도망자 신세가 됨
아히도벨: 다윗의 조언자였지만 압살롬 편에 섬. 지혜로운 전략가
후새: 다윗의 친구. 압살롬을 속여 정보전에서 도와줌
요압: 다윗의 군사령관. 압살롬을 죽임


📜 배경과 전개 요약

1. 다말과 암논 사건 → 압살롬의 복수

압살롬의 누이 다말이 이복형 암논에게 강간당함 (삼하 13장).
다윗은 분노했지만 암논을 벌하지 않음.
압살롬은 2년을 기다렸다가 암논을 살해하고 외가(그술)로 도망감.

2. 압살롬의 귀환과 정치적 계산
요압의 중재로 3년 후 예루살렘에 돌아옴.
그러나 다윗은 처음엔 그를 만나주지 않음. 결국 화해함.
압살롬은 백성들의 환심을 사기 시작함. 사사 역할을 자처하며 민심을 얻음 (삼하 15:1–6).
**“내가 왕이었으면 너를 재판해 줬을 텐데…”**라는 말로 백성의 지지를 끌어모음.


3. 헤브론에서 쿠데타 시작
압살롬은 헤브론에서 자신을 왕으로 선포하고 반란을 일으킴 (삼하 15:10).
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압살롬 편에 섬.
아히도벨도 다윗을 떠나 압살롬에게 합류.


4. 다윗의 도망과 정보전
다윗은 예루살렘을 떠나 피신함 (삼하 15:14).
후새를 압살롬에게 보내어 첩자로 심음.
아히도벨은 다윗을 신속히 공격하자고 조언하지만, 후새는 그 조언을 무산시킴.
결국 아히도벨은 자신의 조언이 무시되자 자살함.

5. 압살롬의 죽음
마하나임 근처에서 다윗의 군대와 압살롬의 군대가 충돌.
압살롬은 전투 중 나무에 머리카락이 걸려 매달림.
요압이 명령을 어기고 압살롬을 죽임 (삼하 18:14).

다윗은 이 소식을 듣고 통곡함:

> “내 아들 압살롬아, 내 아들아, 내 아들 압살롬아! 차라리 내가 너를 대신하여 죽었더라면...” (삼하 18:33)

🧠 신학적・영적 교훈

1. 죄의 대물림
다윗의 간음과 살인(밧세바 사건) 이후 가정이 무너지기 시작함.
하나님은 용서하셨지만, 죄의 결과는 남았음 (삼하 12:10–12).

2. 권위에 대한 도전
압살롬은 외적으로는 화려했지만 내면의 교만과 복수심이 파멸을 초래.

3. 하나님의 주권과 보호
다윗은 쫓기는 가운데서도 하나님께 의지하고, 결국 왕권을 회복함.
시편 3편, 41편, 63편 등은 이 시기 배경으로 쓰인 것으로 보임.


✍️ 결론 요약
반역자 압살롬 (다윗의 아들)
이유 복수심, 민심 장악, 왕권 욕심
결과 다윗은 도망, 압살롬은 죽임당함
교훈 죄의 파괴력, 하나님의 보호, 겉모습보다 중심이 중요함

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