레포트

[일반미생물학] Antibiotics Sensitivity Test 항생제 감수성 테스트 레포트

9급일벌 2021. 1. 16. 23:38

[일반미생물학] Antibiotics Sensitivity Test 항생제 감수성 테스트

<생장 저지환의 크기>

 

clear zone(cm)

1조

tet:1.2

str:1.0

kan:1.2

amp:0.9

2조

tet:1.0 

kan:1.2 

str:1.2

amp:1.1

tet:1.5

kan:1.5

 

 

길항작용 관찰

3조

tet:1.0

tet:1.5

kan:2.0

4조

str:1.2

amp:1.2 

str:1.2

5조

amp:1.1

amp:0.8

tet:1.5

6조

str:0.8

str:0.8

kan:1.2

*tetracycline의 clear zone은 경계가 명확하지 않았음/이외의 항생제들은 모두 clear zone의 경계가 명확.

항생제 이름

ampicillin

tetracycline

kanamycin

streptomycin

생장저지환 범위(cm)

0.9~1.1

1.0~1.5

1.2~1.5

0.8~1.2

평균값

1.0

1.25

1.35

1.0

<Discussion>

이번에는 항생제에 대한 대장균의 감수성을 조사하는 실험을 했다. 우리가 사용한 항생제는 4가지로 - ampicillin, tetracycline, kanamycin, streptomycin - 이다.

 

하루 배양시킨 후 각 항생제에 의해 생성된 생장저지환을 관찰해 보니 ampicillin0.9~1.1cm 사이 였고 tetracycline1.0~1.5cm, kanamycin1.2~1.5, streptomycin0.8~1.2cm 사이였다. (생장저지환을 비교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평균값을 내여서 생각해보았다-위의 표) 대장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은 거의 비슷비슷했지만 그래도 그 중 가장 큰 감수성을 보인 항생제는 kanamycin였다. 대장균은 kanamycin이 존재하면 가장 생장 저해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해 볼 수 있었다. 또한 tetracycline도 대장균의 생장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 같았다.

 

그리고 우리 조가 다른 조와 함께 했던 항생제의 길항작용 관찰에서는 서로 길항작용을 보인 것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함께 작용했을 때 항생제가 대장균에 작용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도 있는 것 같았다. 먼저 두 항생제가 함께 작용했을 때 서로 길항작용을 보여 혼자 작용했을 때 보다 생장저지환이 커진 항생제들에는 tetracyclinekanamycin 그리고 ampicillinstreptomycin이 있었다. tetracyclinekanamycin의 경우에는 tetracycline은 생장저지환이 1.5cm 정도 였고 kanamycin2.0cm로 혼자 작용했을 때보다 생장 저지환이 더 커져 주변에 대장균이 증식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. 이들은 서로 비슷한 작용으로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서로 플러스 효과를 낸 것 같다. 또한 ampicillinstreptomycin의 경우에는 ampicillin1.2cm, streptomycin1.2cm로 역시 혼자 작용할 때 보다 생장저지환이 커진 것을 알 수 있었다. 이들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시키는데 ampicillin이 먼저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나면 아마 그 다음에는 streptomycin이 세포내로 들어가는 것이 더 쉬워지기 때문에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 같았다.

 

이와는 달리 서로 같이 놓아두었더니 서로의 능력을 감소시킨 항생제에는 streptomycinkanamycin이 있었다. 이들은 같이 작용했을 때 서로의 작용을 방해하는 것처럼 보였다. 서로 같은 방법으로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시키는 tetracyclinekanamycin은 서로 길항작용을 나타냈는데 이들은 어째서 서로의 능력을 감소시켰을까? 아마도 이들이 함께 있을 때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항생제의 모양이 변해 대장균에게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든지 아니면 하나의 항생제에 의해 생장이 저해된 대장균이 다른 항생제에 의해 저해된 생장이 다시 회복된 것일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었다. 그 결과 이들은 혼자 작용할 때보다 더 생장저지환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.

 

마지막으로 ampicillintetracycline의 경우에는 ampicillin의 생장저지환은 감소되고 tetracycline의 생장 저지환은 증가되었는데 이것은 그냥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따로따로 작용을 한 것 같았다.

이렇게 항생제들은 혼자서도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시킬 수도 있지만 서로 함께 작용해서 미생물의 생육을 더 억제시킬 수도 있고 또는 서로의 기능을 약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. 따라서 우리가 특정 미생물에 대한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미생물에 가장 적합한 항생제는 무엇인지 또는 함께 넣어주었을 때 서로 길항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은 뭔지, 혹시 항생제의 기능을 약하게 하는 건 없는지를 잘 판단해서 사용해야 할 것이다.

 

- 항생제의 종류 -

ampicillin - penicillin계 약물의 종류중 하나다. 모든 페니실린계열의 약물은 기본적으로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펩티도글리칸이라고 하는 층의 합성을 방해합니다. 즉 세균 세포벽의 일부를 망가뜨림으로서 세균의 보호막을 파괴한다.

tetracycline - tetracycline 계열의 항생제이다. 세균의 70S ribosome30Ssubunit와 결합하여 protein 합성을 저해합니다.

kanamycin - aminoglycosides 류의 항생제이다.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.

streptomycin - 대표적인 aminoglycosides 계열의 약물이다. aminoglycosides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.